클린 코드 - 6장 객체와 자료 구조
CleanCode ·클린 코드 6장 객체와 자료 구조를 정리합니다!
변수를 비공개로 정의하는 이유
- 남들이 변수에 의존하지 않게 만들기 위해서
- 변수 타입이나 구현을 바꾸고 싶어서
자료 추상화
- 구현을 감추려면 추상화가 필요
- 함수를 사용한다고 구현이 감춰지지 않음
- 자료를 세세하게 공개하기보단 추상적인 개념을 표현하는 것이 좋음
- 인터페이스나 조회/설정 함수만으로 추상화가 이뤄지지 않음
- 객체가 포함하는 자료를 표현할 가장 좋은 방법을 고민해야 함
- 별 생각 없이 조회/설정 함수를 추가하는 방법이 가장 나쁨
자료/객체 비대칭
- 객체는 추상화 뒤로 자료를 숨긴 채료 자료를 다루는 함수만 공개
- 자료 구조는 자료를 그대로 공개하며 별다른 함수는 제공하지 않음
- 새로운 자료 타입이 필요한 경우 클래스와 객체 지향 기법이 가장 적합
- 새로운 함수가 필요한 경우 절차적인 코드와 자료 구조가 좀 더 적합
디미터 법칙
- 모듈은 자신이 조작하는 객체의 속사정을 몰라야 한다는 법칙
- 객체는 조회 함수로 내부 구조를 공개하면 안 된다는 의미
- 클래스 C의 메서드 f는 다음과 같은 객체의 메서드만 호출해야 한다
- 1) 클래스 C
- 2) f가 생성한 객체
- 3) f 인수로 넘어온 객체
- 4) C 인스턴스 변수에 저장된 객체
- 하지만 허용된 메서드가 반환하는 객체의 메서드는 호출하면 안됨
- 잡종 구조는 피해라
- 절반은 객체, 절반은 자료 구조인 구조
- 새로운 함수도 새로운 자료 구조도 추가하기 어려움
- 함수나 타입을 보호할지 공개할지 확신하지 못해 나온 설계
자료 전달 객체, DTO
- 자료 구조체의 전형적인 형태는 공개 변수만 있고 함수가 없는 클래스
- 특히 데이터베이스와 통신하거나 소켓에서 받은 메시지의 구문을 분석할 때 유용
- 흔히 DTO는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가공되지 않은 정보를 애플리케이션 코드에서
사용할 객체로 변환하는 일련의 단계에서 가장 처음으로 사용하는 구조체 - 활성 레코드
- DTO의 특수한 형태
- 공개 변수가 있거나 비공개 변수에 조회/설정 함수가 있는 자료 구조
- 대개 save나 find와 같은 탐색 함수도 제공
-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이나 다른 소스에서 자료를 직접 변환한 결과
- 활성 레코드는 자료 구조로 취급
- 비즈니스 규칙을 담으면서 내부 자료를 숨기는 객체는 따로 생성
핵심
- 시스템을 구현할 때, 새로운 자료 타입을 추가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면 객체가 더 적합
- 새로운 동작을 추가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면 자료 구조와 절차적인 코드가 더 적합